1. 백신 관련 질병 악화
백신접종으로 예방하려던 병원체에 감염되어 감염증의 중증도가 증가하는 경우
접종 후 감시기간 : 1년
접종 부작용 제보
의료인 연합에서는 바른 백신 정책의 수립을 위해 부작용 사례를 제보 받고 있습니다.
"피해 보상"을 위해서는 해당 의료기관이나 예방접종도우미 누리집 을 이용해주세요.
항목에 대한 설명을 입력해주세요
항목에 대한 설명을 입력해주세요
항목에 대한 설명을 입력해주세요
항목에 대한 설명을 입력해주세요
항목에 대한 설명을 입력해주세요
항목에 대한 설명을 입력해주세요
항목에 대한 설명을 입력해주세요
제보자 본인인 경우 입력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항목에 대한 설명을 입력해주세요
항목에 대한 설명을 입력해주세요
항목에 대한 설명을 입력해주세요
항목에 대한 설명을 입력해주세요
첨부된 파일이 없습니다.
항목에 대한 설명을 입력해주세요
항목에 대한 설명을 입력해주세요
항목에 대한 설명을 입력해주세요
항목에 대한 설명을 입력해주세요
항목에 대한 설명을 입력해주세요
작성하신 내용 더불어 잘 읽어보시고 제보 마무리해주세요
백신접종으로 예방하려던 병원체에 감염되어 감염증의 중증도가 증가하는 경우
접종 후 감시기간 : 1년
심인성 폐부종의 증거가 없는 경우 양측성 폐 침윤 및 심각한 진행성 저산소 혈증을 특징으로 하는 급성 장애
접종 후 감시기간 : 1년
심장 허혈, 심근염. 심근병증, 부정맥, 심부전, 심인성 쇼크, 뇌졸중 등의 급성 장애
접종 후 감시기간 : 1년
과도한 출혈 또는 혈전증 위험 증가로 이어지는 지혈 장애(색전증, 출혈)
접종 후 감시기간 : 1년
갑작스런 신부전 또는 신장 손상으로 혈액에 노폐물이 축적되어 체액, 전해질, 산 염기 및 호르몬 조절의 장애
접종 후 감시기간 : 1년
뇌 기능의 장애를 보이는 증상
접종 후 감시기간 : 4주
심건반사가 줄어들거나 없어지며. 팔이 늘어지거나 마비되는 등의 증상을 보임
접종 후 감시기간 : 4-6주
간독성의 임상증상 및 간 효소 상승, 간 기능의 변화를 초래하는 중증도의 질병
접종 후 감시기간 : 4-6주
백신 접종 후 후각 또는 미각 상실의 변화가 발생하는 상태
접종 후 감시기간 : 4-6주
저온에 반복적인 노출로 발생하는 피부 모세혈관 염증으로 동상과 유사한 병변이 손가락과 발가락에 나타날 수 있음
접종 후 감시기간 : 4-6주
혈관벽의 염증을 특징으로 하는 질병으로 모든 장기에서 발생 가능하며 피하 모세혈관염(CSW)가 가장 흔함
접종 후 감시기간 : 4-6주
붉고 융기된 피부반점을 야기하는 피부질환
접종 후 감시기간 : 4-6주
즉각적이며 심한 알리지 반응으로 순환기능 상실을 일으킴
접종 후 감시기간 : 2일
관절 염증의 징후 및 증상의 급성발병, 백혈구수 증기를 특징으로 하는 임상 증후군
접종 후 감시기간 : -
뇌와 척수를 덮고 있는 막의 감염 또는 염증, 뇌염은 우울증과 중주 신경계 이상 징후를 보이는 신경계 염증, 뇌수막염을 진단하려면 두 가지 상태의 증거가 모두 필요함.
접종 후 감시기간 : 4주
중주신경계를 침범하는 드문 급성 염증성 질환
접종 후 감시기간 : 4-6주
혈소판이 150 X 1^9L 이하인 비정상적인 혈액상태로, 자발출혈 같은 임상증상이 동반됨
접종 후 감시기간 : 4-6주
혈소판이 150 X 1^9L 이하인 혈관의 혈전증
접종 후 감시기간 : 4일-28일
심장, 폐, 신장, 뇌, 피부, 눈 및 위장 기관 등 신체 여러부위에 염증을 일으킴
접종 후 감시기간 : -
급격한 팔·다리의 부종, 갑작스러운 체중증가를 보임
접종 후 감시기간 :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관리지침 1-3판(2021.7.22), p.71 < 참고1 > 예방접종 후 특별관심이상반응 발생신고{보고)서 [PDF]